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ETF의 4가지 유형을 알아보자!
    카테고리 없음 2022. 7. 4. 21:46

    ETF의 4가지 유형을 알아보자

    ETF는 주가 지수나 채권과 같은 특정지수를 추종하는 펀드입니다. 이러한 펀드는 쉽기 때문에 주식 초보자분들도 할 수 있는 펀드입니다. 이러한 ETF는 다양한 종목들이 있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몇몇 특이한 ETF들이 있습니다. 추종지수의 수익률보다 2배의 수익률이 나오는 레버리지 ETF, 수익률이 추종지수와 반대로 움직이는 인버스 ETF, 환율에 영향을 받지않는 헷지 ETF, 실물자산을 편입하지 않고 증권회사와 장외스왑계약을 편입한 합성 ETF가 있는습니다.

     

    4가지 유형 알아보기

    • 레버리지 ETF  - 보통의 ETF에 경우 특정지수를 따라가기에 지수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집니다. 하지만 레버리지 ETF에 경우에는 지수에 따른 수익률이 2배가 넘게 오릅니다. 어떻게 이러한 것이 가능할까요?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펀드에 투자된 돈을 가지고 주식에 투자한 후 그 주식을 가지고 돈을 빌려 투자규모를 2배 키우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 2배가 하루 수익률의 2배입니다. 지수가 100인 것을 1000원 산 ETF가 첫날은 지수가 20% 오르고 그 다음날 20% 하락했다면 수익률은 4% 하락 한 것이 겠지만 레버리지 ETF는 16%나 빠지게 됩니다.
    • 인버스 ETF - 인버스 ETF는 주식이 아닌 미래의 이정한 시기에 현물을 넘겨준다는 조건으로 하는 선물을 미리 매도했다가 선물시세가 하락 했을때 차익을 버는 것입니다. 즉 미래의 추종지수가 하락할 것이라고 예측하여 매도하는 것으로 차익을 얻는 것입니다.
    • 헷지 ETF - 헷지 ETF에서 헷지는 환 헷지를 뜻 합니다. 환율변동으로 생기는 손해를 방지하기 위해 환율을 현재 수준으로 미리 공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것에 경우에는 해외지수를 따르는 것을 샀을 때 좋습니다. 환율 상승에 따른 이익을 얻지는 못하지만 추종지수가 상승한 만큼의 수익을 얻을 수 있기때문에 환율이 하락 할때도 어느정도의 안정을 기할 수 있습니다.
    • 합성 ETF - 주식이나 채권 실물에 투자하는 것이 아닌 증권회사와 장외스왑계약을 편입하는 것이다. 이것을 간단히 말하면 직접 ETF를 담는 것이 아닌 증권회사와 추종지수의 수익률의 등락만큼만 정산하는 계약을 맺는 것입니다. 합성 ETF는 좀 더 정확하게 추종지수를 따라간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마무리 지으며...

    ETF의 4가지 유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단일 종목에 투자하는 것을 어려워하셔서 ETF를 시작하시지만 종류가 워낙 다양하여 무엇을 해야 할지 잘 모르십니다. 이 글에서 알려드린 4가지 유형으로 ETF 종목들을 보시고 잘 판단하셔서 좋은 투자하시기를 바랍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